본문 바로가기

● 사회 , 시사,노동

노동이란? 노동의 뜻, 노동과 근로의 차이

반응형

노동이란? 노동의 뜻, 노동과 근로의 차이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의 대부부은 노동자(근로자) 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민은 “노동”라는 단어에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을 뿐더러 노동라는 단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노동, 노동자라는 단어에 대해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 노동이란 무었일까요? >

●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얻기 위하여 육체적, 정식적 노력을 하는 행위를 노동이라고 합니다.

- 인간은 노동을 통해서 자연을 변화시키며, 발전하기도 하고, 때로는 창조하기도 합니다.

- 그리고, 노동은 인간과 동물을 구분하는 수단이기도 합니다.

 

< 노동, 근로 무엇이 더 맞는 말일까요? >

● 근로는 '부지런히 일한다'는 뜻으로 노동보다 부지런함을 강조한 단어이고, 노동보다 수동적인 의미이고, 고용주에 종속되는 개념입니다.

● 노동이란 노동자가 생활에 필요한 것을 얻기 위해 능동적인 활동을 말하며, 근로보다는 자주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노동보다 '일'이나 '근로'라는 말을 더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따라서, 단어의 의미를 보았을 때 노동, 노동자라는 표현이 맞습니다.

 

< 근로, 근로자의 단어 발생 배경 >

● 일제시대부터 1960년데까지는 노동자라고 했습니다.

일제시대부터 해방이후에도 근로라는 단어보다는 노동이라는 단어가 더 보편화 되었고,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 근로, 근로자는 군사정권의 정책으로 사용

- 근로라는 말이 노동을 대신해서 쓰게 된 것은 1960년~ 70년대에 노동이라는 단어가 공산 진영을 떠올리게 한다는 이유로 노동이란 단어 대신에 근로라는 단어를 사용하도록 하였기 때문입니다.

- 이때 노동법에도 노동이라는 단어 대신에 근로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고, 이때 근로기준법이 생겨서 법용어도 노동보다는 근로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만약 당시 군사정권이 아니었다면 근로기준법이 아니라 노동기준법이라고 했을 겁니다.

- 또한 1963년 박정희 대통령은 노동절의 명칭을 근로자의날로 바꾸었습니다.

- 노동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인 노동자보다 근로자가 라는 말이 더욱 익숙한 것은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 근로부장관이 아니라 노동부장관이 맞는 것처럼 근로자가 아니라 노동자가 맞는 표현입니다.

● 근로법이 아니라 노동법이 맞는 것처럼 근로기준법이 아니라 노동기준법이 맞는 표현입니다.

 

< 노동, 노동자라는 단어에 거부감을 느끼는 이유 >

● 노동자라고 표현하면 공산주의자, 사회주의자로 간주하는 잘못된 인식

- 1960년부터 군사정권의 정책으로 노동활동에 제약이 많이 있었고, 노동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면 공산주의자, 사회주의자로 간주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일반시민들은 노동, 노동자라는 단어에 거부감을 같기 시작했고,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 그러나, 중요한 것은 특히 현재에는 노동활동을 한다고 모두 공산주의자, 사회주의자는 아니며, 오히려 대부분의 노동조합과 노동활동가들은 대한민국 헌법과 노동법에서 정한 법적 테두리 안에서 노동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근로자보다는 노동자라는 단어를 쓰는 것이 맞고, 이제는 노동자라는 단어에 편견을 벗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