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노동법 종합/성희롱,성차별

합의서 작성방법 및 양식

반응형

합의서 작성방법 및 양식

합의서 작성방법 및 양식

● 본 합의서 양식은 성희롱 등의 피해 합의서를 중심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합의서는 특별한 양식이 없어 본 합의서 작성방법을 활용하여 성희롱 등의 피해 합의 이외의 용도로 활용가능 합니다.

합의서 작성방법 및 양식

  < 합의서 작성 기본사항 >  

● 작성할 때는 피해자가 원하는 내용을 최대한 담습니다. 혹여 불리한 내용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정해진 양식은 없으며 합의 조건이 잘 드러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합의서 작성 시 체크리스트 >  

●가해자와 피해자의 인적 사항 (신분증을 확인하고 성명, 주민번호, 연락처 기재)

●대리인일 경우 대리권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인감증명서, 신분증사본, 위임장)

●육하원칙에 의한 사건의 세부적인 정황

●합의한 사항 및 합의사항을 이행하는 방법, 이행하지 않을 시의 강제방법

●금전 등 보상 내용 (금전 보상이 있는 경우)

●신분증 복사(필요 시)

●서명, 날인

●인감도장 찍은 후, 인감증명서 첨부

●합의 시 녹취 및 상담소 등 조력자 동석

●합의금 등의 손해배상이 합의조건인 경우, 합의금 수령 후 합의서에 서명

●마지막으로 공증사무소에서 공증받기

  < 합의 조건 >  

1. 손해 배상 : 물질적, 정신적 피해에 대한 금전적 보상, 정확한 배상 액수와 지급방법, 지급을 완료할 날짜를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합니다.

2. 휴직, 분리배치, 이사, 휴학 : 가해자와 같은 직장의 상사일 경우 대면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나 가해자가 피해자 근처에 거주할 경우에 이사 등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3. 사과문 : 개인적인 사과문과 상황에 따라 가해자가 속한 기관에 사과문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4. 재발방지약속 : 다시 범죄를 저지르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비밀유지약속 : 제 3자에게 사건을 발설하지 않겠다는 조건을 삼을 수 있습니다.

6. 합의 사항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에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명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