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업재해법, 산안법/산업재해 및 보상

원도급자의 공상처리 유도, 중대재해 발생보고, 산안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

반응형

원도급자의 공상처리 유도, 중대재해 발생보고, 산안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

원도급자의 공상처리 유도가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에 해당되는지

원도급자의 공상처리 유도, 중대재해 발생보고, 산안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

< 질 의 >

원도급자의 공상처리 유도가 법 위반 사항인지 여부

< 회 시 >

원청업체에서 협력업체에 산업재해 발생보고 의무를 위반하도록 교사 또는 방조 행위를 한 경우에는 원청업체를 형법상의 교사범(제31조), 종범(제32조), 공범과 신분(제33조)에 관한 규정을 적용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제10조 (보고의 의무)를 위반하였다고 볼 수 있음

(안전보건정책과-641, 2010.02.23.)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1항에 의하여 사망자를 포함한 산업재해를 1개월 이내에 보고한 경우 동조 제2항에 의한 중대재해 발생보고를 한 것으로 보아야 하는지

원도급자의 공상처리 유도, 중대재해 발생보고, 산안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

< 질 의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1항에 의하여 사망자를 포함한 산업재해를 1개월 이내에 보고한 경우 동조 제2항에 의한 중대재해 발생 보고를 한 것으로 보아야 하는지 여부

< 회 시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1항은 산재통계산출 목적이며, 동조 제2항은 중대재해를 조사하여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두 조항의 목적과 취지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중대재해의 경우에는 동법 시행규칙 제4조제1항 및 제2항에 의한 보고를 모두 하여야 함. 다만, 동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중대 재해 보고기한의 기산점은 “중대재해가 발생한 때”가 아닌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실을 알게 된 때” 임에 유의하시기 바람

(안전보건정책과-1719, 2010.06.14.)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의 “지체없이”의 범위

원도급자의 공상처리 유도, 중대재해 발생보고, 산안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

< 질 의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의 “지체없이”에 해당하는 보고기한이 불명확하여 사업주가 중대재해를 알게 된 날부터 토․일요일이 지난 3일째 중대재해 발생보고를 한 경우 “지체없이” 보고의무를 위반하여 과태료 부과대상에 해당되는지 여부

< 회 시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의 “지체없이”는 “정당한 사유(재해 등으로 인한 통신수단의 이용이 곤란하거나 재해자 응급구호, 2차 재해 재발방지를 위한 조치 등 최소한의 안전보건조치를 위하여 지체되는 경우 등)가 없는 한 즉시”로 해석하여야 함

(산재예방정책과-2945, 2011.08.04.)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의 중대재해 발생보고 여부

원도급자의 공상처리 유도, 중대재해 발생보고, 산안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

< 질 의 >

A 회사가 2006년 1월에 배관 철거 건설공사를 하였고, 동 공사기간 중 B근로자가 부상을 입어 근로복지공단에 요양신청을 하여 요양을 하였으며, 동 건설공사는 2006년 2월에 완료되어 폐지되었음. B 근로자가 2009년에 퇴직을 하여 근로관계가 종료된 상태에서 B 근로자가 요양 중 2010년 폐렴 등 합병증이 발병되어 사망한 경우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0조제2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에 의거 중대재해 보고를 해야 하는지 여부

< 회 시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의 보고의무 주체는 “사업주”인바, B 근로자가 사망한 시점에서는 B 근로자가 그 이전에 퇴직한 관계로 A 회사와 B 근로자는 고용관계에 있지 않기 때문에 A 회사에 보고의무가 없다고 볼 수 있을 것임

(산재예방정책과-3507, 2011.09.06.)

※ 출처 :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 질의회시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