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코로나 관련 정보

코로나 각종 정부지원 대책 (고용유지 제외)

반응형

코로나 각종 정부지원 대책 (고용유지 제외)

이번 코로나 사태와 관련하여 정부에서는 고용안정을 위해 여러 가지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지난 게시물에서는 정부의 고용유지 지원에 대해 알아 보았고 오늘은 그 외 정부 지원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국민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고용유지 지원이외에도 많은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각종 정부지원 대책 (고용유지 제외)

  1. 비대면, 디지털 정부일자리 창출  

○ 대면접촉이 적고, 일손이 부족한 분야를 중심으로 한시적으로 비대면・디지털 정부일자리 사업을 추진, 공공·공간·작물·도로 등 데이터 구축 등 청년 중심의 IT분야, 다중이용시설 방역, 환경보호, 행정지원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일자리를 창출

○ 분야 : 대면 접촉이 적고 일손이 부족한 분야

○ 조건 : 주 15~40시간 근로, 사회보험 가입, 최저임금 이상, 최대 6개월

  2. 취약계층 공공일자리 창출  

○ 취약계층(실직자, 휴· 폐업 자영자 등)의 생계안정을 위한 공익목적의 일자리사업 확대

○ 분야 : 산림재해, 환경정화 등 야외활동 및 코로나19 관련 일자리 발굴

○ 조건 : 주30시간 미만 근로, 사회보험 가입, 최저임금 이상, 최대 6개월

코로나 각종 정부지원 대책 (고용유지 제외)

  3. 청년 디지털 일자리 지원  

○ 민간기업에서 IT 활용이 가능한 직무에 청년을 채용하는 경우 인건비를 지원

○ IT활용 가능한 민간 일자리 업무는 기록물 전산화, 온라인 콘텐츠 기획 및 관리, 취약계층 IT 교육 등 부가가치 창출

○ 분야 : IT활용 가능한 민간 일자리

○ 지원내용 : 최대 월180만원 지원(주40시간 기준, 최대6개월)

○ 조건 : 주 15~40시간 근로, 사회보험 가입(정규직 전환 의무 없음)

  4. 청년 일 경험 지원  

○ 코로나19 영향으로 채용여력이 부족한 사업장에서 청년들을 채용하여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할 경우 장려금 지원

○ 대상 : 코로나19 영향으로 채용여력이 부족한 사업장

○ 지원내용 : 월 80만원☓6개월

○ 조건 : 주 15~40시간 근로, 사회보험 가입(정규직 전환 의무 없음)

코로나 각종 정부지원 대책 (고용유지 제외)

  5. 중소중견기업 채용보조금  

○ 특별고용지원업종에서 이직한 근로자를 채용한 기업에 대해 보조금 지원

○ 대상 : 특별고용지원업종 및 코로나19 영향 시기에 이직한 근로자

○ 지원내용 : 최대 월 100만원 ☓ 6개월(주40시간 기준)

○ 조건 : 주15~40시간근무, 사회보험 가입

  6. 구직자 등 생계안정 강화  

○ 구직급여 신청 급증을 감안하여 구직급여 규모 확대

○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지원 인원을 확대

○ 근로자 생계비 융자를 확대 - 융자 한도를 2천만원에서 3천만원으로 상향

- 근로자, 특수고용형태종사자 지원

○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대상을 무급휴직자,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자영업자까지 포함하여 지원대상을 확대, 소득요건을 완화하여 지원규모 확대

코로나 각종 정부지원 대책 (고용유지 제외)

  7. 건강보험료 경감  

○ 대상 : 건강보험료 하위 20%, 하위 20%~ 40%

○ 경감액 : 건강보험료 하위 20%는 보험료 50% 감면, 하위 20~40%는 보험료 30% 감면

○ 감면기간 : 3월~5월 보험료

○ 별도의 신청 없이 대상자 건강보험공단에서 자동 감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