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다음 주는 일이 없으니까 다 같이 연차로 쉬라고 하는데, 이렇게 해도 되나요?
● 회사사정으로 일을 못하는 기간 동안에는 휴업수당(평균임금의 70%)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휴업을 해야 하는 날을 연차휴가일로 대체하는 것은 휴업수당을 주지 않으면서 연차휴가일수도 사용하게 하려는 사용자들의 꼼수입니다.
● 또한 이와 같은 행위는 노동자의 연차사용시기권을 침해하는 행위 입니다.
■ 공휴일에 쉬었습니다. 그런데 그 날을 연차로 대체한다는데 맞는 것인가요?
● 연차휴가는 노동자가 원할 때 쓰는 것이 원칙이어서 사용자 마음대로 공휴일과 대체할 수 없습니다.
● 다만, 노동자대표와 서면합의를 한 경우에는 연차를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
● 즉, 노동자 대표와의 서면합의가 없으면 사용자는 공휴일을 연차로 대체할 수 없습니다.
● 그리고 노동자대표는 노동자들의 의견을 대표하는 사람으로 노동자들의 의사결정의 자율성이 보장되는 절차를 통해 선정해야 합니다.
< 콜센터 각종 고충상담 및 노조 가입문의 >
● E-MAIL상담 : cc_union@naver.com
728x90
반응형
'● 노동법 종합 > 연차, 유급휴가, 휴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차수당의 매월 급여포함 지급은 위법(사례) (0) | 2020.05.07 |
---|---|
연차사용촉진제도 시행으로 연차수당을 주지 않는다고 합니다. (0) | 2020.05.07 |
연차 유급휴가 제도 변경 (이전과 이후 비교) (0) | 2020.05.06 |
연차수당 지급시기, 연차수당의 퇴직금 반영 (0) | 2020.05.06 |
연차수당, 미사용 연차는 수당으로… (0) | 2020.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