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코로나 관련 정보/스마트워크,재택근무

재택근무 도입 범위, 대상 직무 업무 선정, 시행방법 결정

반응형

대상 직무 선정하기

● 재택근무제 도입에 적합한 직무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직무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항목을 검토하여 직무특성을 파악합니다.

재택근무 도입 범위, 대상 직무 업무 선정, 시행방법 결정

< 직무조사 사항 >

재택근무 도입 범위, 대상 직무 업무 선정, 시행방법 결정

● 재택근무의 대상 직무는 법령상 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회사 상황을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재택근무 도입 직무를 선정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재택근무의 실시가 용이한 직무의 범위도 기술 향상 등에 따라 점차 넓어지고 있습니다.

● 통상적으로 재택근무를 실시하기에 용이한 직무로 꼽는 특성 등은 아래와 같습니다.

 

< 재택근무 적합 직무 예시 >

∙ 스스로 업무계획을 세우고 자율적으로 업무관리를 할 수 있는 직무

∙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업무수행이 가능한 직무

∙ 다른 팀이나 조직과의 업무협조가 빈번하게 발생하지 않는 업무

∙ 동료, 상사와의 대면업무가 제한적인 직무

∙ 고객과의 대면접촉이 거의 없는 업무

∙ 원격으로 관리감독이 가능하거나 결재나 보고의 빈도가 낮은 직무

∙ 높은 수준의 보안을 요구하지 않거나 보안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직무

∙ 업무실적 평가의 계량화가 용이한 업무

∙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근무할 수 있는 모든 직무

∙ 특정한 장소에서 이루어지지 않아도 되는 직무

∙ 회사 내 문서열람, 장비사용 등이 필요 없거나 자택에 비치한 장비로 수행 가능한 직무

 

● 재택근무 가능 여부에 대한 직종별 재택근무 직무적합도(%)를 살펴보면, 컴퓨터 및 수학, 교육․훈련․ 도서관, 법률, 비즈니스 등의 직종은 재택근무 용이도가 매우 높은 분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반면, 농업․임업․ 어업, 생산, 건설 등의 전통적 직종이나, 음식준비, 청소 및 보수유지 등의 서비스 직종은 재택근무 적합도가 매우 낮은 직무임을 알 수 있습니다.

 

< 직종별 재택근무 가능 업무 비율 >

재택근무 도입 범위, 대상 직무 업무 선정, 시행방법 결정

적용 대상자 선정하기

● 재택근무제의 신청사유 및 자격을 별도로 제시하는 방법으로 제도 도입 범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

- 장거리 출퇴근, 육아, 유 ․ 사산 위험, 건강, 간병, 학업 등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 재택근무를 우선 신청하도록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재택근무의 특성상 신청 자격을 독립적인 업무수행이 가능한 자로 제한하기 위해 일정 근무경력을 요구하거나 자기관리 능력을 고려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근무경력이 1년 이상인 자, 3개월간의 수습기간을 끝낸 근로자, 직속 상사와 동료로부터 재택근무 역량 평가 등

- 결격사유로서 근태관리 및 회사의 기밀 유출 관련 징계 이력 등을 검토할 수도 있습니다.

- 감염병 등 재난 상황에서는 직원 밀집도 완화 등을 고려하고, 특히 감염 취약계층인 임산부를 우선 적용하는 등의 검토가 필요합니다.

● 다만, 자격 범위의 제한이 누군가에게는 불평등이나 경영진의 고정관념으로 여겨질 수 있으므로, 기준을 정하고 설명하는 데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나아가 현시점에서의 제약이 미래에도 반드시 유효한 것은 아니므로, 일하는 방식의 점진적인 변화 노력, IT 인프라 투자 등을 통해 재택근무를 지속적으로 확장시킨다는 목표와 계획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시행 방법 결정하기

● 모든 임직원을 상대로 전면 시행하거나, 개인별 또는 일부 부서를 대상으로 실시한 후 점차 확대하여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재택근무 적용 형태별 추진 방법 >

● 전사적 적용

∙ 종합적․ 연차별 추진계획, 예산계획 수립 절차를 통해 재택근무제 추진 계획과 전략 마련

∙ 기업의 모든 부서와 임직원을 대상으로 추진

● 시범 적용

∙ 기업의 일부 부서와 조직을 대상으로 재택근무제 추진

∙ 시범운영 성과를 바탕으로 제도 적용대상의 확대 여부를 판단하고 계획을 수정 ․ 보완

● 개인별 적용

∙ 재택근무제가 우선 적용 가능한 사람을 개별적으로 선별하여 재택근무 환경 조성 등 추진

∙ 개별성과를 종합하여 우수한 성과의 내부 공유 및 확산

* 출처: 중소기업을 위한 스마트워크 구축가이드, 한국정보화진흥원(2014)

 

※ 출처 : 고용노동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