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휴업수당'이란
- 경영상 사정으로 회사가 쉬는 경우 사용자는 노동자에게 평균임금 70% 이상을 휴업수당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 경영상 사정이란 주문량 감소, 판매부진, 기계고장이나 공장이전, 영업정지, 원청업체의 경영난으로 일이 없는 경우 등을 말합니다.
[ 질문 ]
가게 인테리어 공사로 한 달 동안 출근하지 않았습니다.
사장님이 일하지 않았으니 월급을 줄 수 없다는데, 휴업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 답변 ]
가게 인테리어 공사도 휴업수당 지급 사유가 됩니다.
출근하지 않았더라도 휴업수당을 청구할 수 있고, 휴업수당은 사용자 마음대로 감액해서 지급할 수 없습니다.
[ 질문 ]
서빙 알바를 하고 있습니다. 손님이 없는 날은 2시간씩 일찍 퇴근시키고, 2시간분 시급을 주지 않아요.
[ 답변 ]
손님이 없다고 일찍 퇴근시켰다면 휴업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나는 일할 의사가 있었는데 경영상의 이유로 일을 안 시킨 것이기 때문이죠.
728x90
반응형
'● 노동법 종합 > 연차, 유급휴가, 휴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차휴가 내가 쓰고 싶을 때 쓰는게 정상 입니다. (0) | 2020.05.05 |
---|---|
근로자의 날 / 휴일근로 / 대체휴무 / 연차 (0) | 2019.04.26 |
연차수당의 사례 (0) | 2019.03.26 |
2018년 연차휴가제도 변경 (0) | 2019.03.25 |
연차(유급휴가)는 언제 쓸 수 있나요? / 사례포함 (0) | 2019.03.24 |